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빨간 머리 앤(Anne with an E) 주요 줄거리 & 캐릭터 별 역할

by love88 2025. 3. 11.
반응형
주근깨 빨간머리 앤 이미지
자연속에 함께 동화된 상상의 날개를 펴는 빨간 머리 앤의 사진

 

 
 

빨간 머리 앤(Anne with an E) 주요 줄거리 & 캐릭터 별 역할과 총평

1.‘빨간 머리 앤’ 줄거리 요약

넷플릭스 시리즈  "빨간 머리 앤(Anne with an E)"은 루시 모드 몽고메리(L.M. Montgomery)의 원작 소설 "빨간 머리 앤(Anne of Green Gables)’"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2019년에 재해석한 작품이다. 이야기는 고아 소녀 앤 셜리(Anne Shirley)가 실수로 "초록 지붕 집(Green Gables)"에 오게 되면서 시작된다. 원래 "매슈(Matthew Cuthbert)"와 마릴라(Marilla Cuthbert) " 남매는 농장에서 함께 일할 남자아이를 입양하려 했지만, 입양 기관의 착오로 앤 셜리가 오게 된 것이다.

은 밝고 상상력이 풍부하고 똑똑한 머리를 지녔지만, 어린 시절 고아원에서 왕따와 집단 폭력으로 인한 상처의 트라우마와  여러 가정집을 전전하며 온갖 힘들고 고된 삶을 살았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서 언제든지 버림받고 다시 고아원의 집단 따돌림받는 상황에 놓일 수 있었기에 늘 불안함과 두려움을 안고 살았습니다.  그런 삶으로 인해 인정과 사랑을 받지 못했고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정체성과 자신이 사랑받을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안고 있었다. 초록 지붕 집에서도 처음에는 마릴라가 그녀를 받아들이는 것을 망설이지만, 앤의 밝고 긍정적이고 따뜻한 성격과 상상력이 풍부한 독창적이며 똑똑한 사고방식이 점차 가족과 마을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된다. 은 학교에 가면서 친구들과도 관계를 맺고, 특히 "다이애나 배리(Diana Barry)"와 친한 친구가 된다. 또한 라이벌이자 후에 사랑하게 되는 "길버트 블라이드(Gilbert Blythe)"와도 만난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성장기가 아니라, 젠더 문제, 인종차별, 여성의 권리,  계급 차별, 학교 내 괴롭힘, 인디언 원주민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어려서 부터 불우하고 고난을 겪는 환경 속에서도 자신을 지키기 위해  의지적으로 상상력을 펼쳐서 긍정적인 사고로 고통의 순간들을 이겨내고 그 결과 참된 기독교 가정에 입양되면서 올바른 가정 교육과 교회, 학교등을 통해 공동체 생활을 배우고 하느님 안에서 가족과 이웃의 사랑을 받으면서 자신의 꿈과 정체성을 세워가는 진정한 삶의 모습을 다루는 보다 깊이 있는 스토리로 펼쳐진다.

2. 주요 캐릭터와 역할

  1.  앤 셜리(Anne Shirley) - 주인공 : 빨간 머리를 가진 활발한 소녀로, 상상력이 풍부하고 독창적인 성격을 지니고 고아로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삶을 헤쳐 나간다. 초록 지붕 집에서 사랑을 받고 성장하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개척하는 삶을 살아가며 여성의 교육과 독립의 중요성과 더불어 진정한 사랑을 깨닫고 스스로 행복을 찾는 캐릭터로 현대적인 여성의 상으로 독립과 교육, 사랑을 모두 성취하는 진취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2. 매슈 커스버트(Matthew Cuthbert) - 앤의 양아버지 : 조용하고 따뜻한 성격을 지닌 초록 지붕 집의 주인으로 앤을 처  음부터 조건 없이 받아들이고 누구보다 앤을 아끼고 사랑했으며, 말은 적지만 깊은 애정을 나타내고 앤에게 든든한 지원군과 버팀목 역할을 한다. 양아버지에서 고난과 사건을 통해 진짜 아버지로 바뀌어가는 부성애를 보여주고 있다. 
  3. 마릴라 커스버트(Marilla Cuthbert) - 앤의 양어머니 : 엄격하고 원칙적인 성격이지만, 점점 앤을 사랑하게 된다.처음에는 앤을 입양한 것을 사내아이가 아니라 후회했지만, 그녀의 따뜻함과 영리함에 감동받고 .앤에게 기도하는 법과 책임감과 삶의 지혜를 가르쳐 주면서 마릴라도 자신의 편견과 고집등을 내려놓고 더 열린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자신은 물론 동생의 상처도 보듬어 안고 앤을 진정한 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사랑을 하게되면서 외롭고 힘든 이웃도 더 많이 사랑하고 챙기는 모습으로 기쁘고 행복한 삶을 실현해 나가는 앤에게 있어서도 중요한 멘토 역할을 한다.
  4. 길버트 블라이드(Gilbert Blythe) - 앤의 라이벌이자 후에 연인 : 똑똑하고 자신감 넘치는 소년으로, 앤과 첫 만남에서 장난을 치다 그녀의 미움을 산다. 부모님이 일찍 여의고 자신의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배를 타고 일을 하다 흑인 친구를 사귀게 되면서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을 극복하고 서로 친구로 지내다가 가족으로 발전하고 더불어 인간의 생명을 연장 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의사를 꿈꾸는 인류애를 지닌 삶을 묘사하고 있다. 앤과는 계속 공부를 1,2등 경쟁하며좋은 친구가 되고, 나중에는 결국 로맨스로 발전해서 사랑하는 연인 사이가 된다.
  5. 다이애나 배리(Diana Barry) - 앤의 절친한 친구 : 부유한 가정에서 자란 상냥하고 순수한 소녀로, 앤과 만난 순간부터 친한 친구로 지내게 된다. 처음 만날때부터 서로 나누고 받아들이고 의지할 수 있는 존재로 느끼고  영원한 친구(Friendship Goals) 로 지내기로 약속하고 그 약속을 지키려고 서로 노력한다. 엄격한 부모 밑에서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아가지만, 앤과 함께 어려움을 나누며 지혜롭게 이겨내며 고전적인 여성의 삶에서 현대의 독립적인 여성으로서 교육 받는 삶을 선택하고 인생을 개척하고 성장시킨다.
  6. 레이첼 린드(Rachel Lynde) - 마을의 수다쟁이 이웃 : 처음에는 앤을 못마땅하게 여기지만,  앤의 밝고 정직하고 똑똑하게 자기 인생을 개척하고 가족이 어려움에 처했을때 함께 아이디어를 내서 극복하려는 그녀의 모습을 보면서 인정하고 조언을 해주는 존재가 된다. 앤의 양어머니와 절친한 친구이며, 마을의 소식을 빠르게 접하고 전해주는 인물이다.
  7. 제리 베이너(Jerry Baynard) - 초록 지붕 집의 일꾼 : 프랑스에서 이민온 소년으로, 농장일을 도와주면서 가족의 생계를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 있고, 앤과 처음에는 자주 다투었지만 점점 친해지고 나중에 앤이 영어도 가르쳐 주고, 앤의 부유한 여자 친구와 몰래 사귀다가 현실적인 신분의 차이로 상처를 받고 헤어지게 된다.  여자 친구는 신분의 벽을 넘어설 수 있는 용기, 즉 부모에게 말을 할 수 없기에  헤어지게 된다.   
  8. 콜 맥스웰(Coles Maxwell) - 예술적 감성을 가진 친구 :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지만, 앤과 여자 친구들이 친구로 함께 지내면서 자존감을 찾아주고, 앤의 숲속의 작은 집에서 그림과 시, 소설을 쓰면서 고통을 이겨낸다.  남자 친구들이 콜의 탁월한 예술성을 시기해서 넘어뜨리고 다치게 해서 손목을 다쳐서 자신의 탈출구인 그림을 못그려서 절망하고 있는데 귀족들의 파티에서 예술가의 조언으로 찱흙으로 조각상을 만들어서 자신의 미래를 찾아 나가면서 자존감을 회복하고 자신의 삶을 개척한다. 또한 남자 선생님과의 동성애적인 사랑의 충동을 느끼는데 남자 선생님이 자신의 모습을 보고 절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콜에게 화를 내고 상처를 준다. 이 내용은 동성애의 유혹은 나이를 초월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콜이 참가한  예술가들의 파티가  쾌락의 절정을 뛰어 넘어 타락으로 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동성애로 쾌락을 추구하고 더 넘어서 짐승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느님의 창조하신 이성끼리의 사랑이외에,  인간의 쾌락을 합리화하고 동성애를 미화하고 탁락의 끝을 향하고 있다. 인간중심의 사고로 사회적인 성 제3의 성 "젠더"까지 만들어 내고 인정해주고 있고 콜을 통해서  동성애를 인정해주고 자연스러운 삶이락고 말하고 있고 또한 동성애의 역사가 현대뿐만이 아니라 과거에도 많이 비밀리에 조용히 퍼져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9. 카퀘티(Kakwet’i) - 원주민 소녀(넷플릭스 오리지널 캐릭터) : 원작에 없는 캐나다 역사 속의 원주민 강제 정책의 아픔과 원주민들의 자연과 하나되어서 살아가는 문화와 삶의 고통을 보여주기 위해 새로이 추가되었다.

3. 넷플릭스 ‘빨간머리 앤’의 특징과 총평

원작보다 더 깊이 있는 사회적 문제를 나타 내며  여성 인권, 인종 차별, 동성애 정체성, 계급 격차 등을 다루고, 앤의 성장 과정 강조하고 단순한 고아 소녀의 삶이 아니라, 자신의 현실의 고난을 극복하고 사랑과 꿈과 정체성을 찾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시네마틱 한 영상미로 캐나다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 감성적인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자연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보여 주면서 영혼이 시원하게 청량감을 전달해 주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자연 속에 함께 있는 착각을 느끼게 해 주면서 감동을 주는 영화이다.  

 
빨간 머리 앤(Anne with an E)의 감동적인 순간들

넷플릭스 시리즈 "빨간 머리 앤(Anne with an E)"은 따뜻한 이야기와 감성적인 장면들과 자연의 풍부한 아름다움으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울렸다. 단순한 성장 드라마를 넘어, 가족, 우정, 사랑, 자신의 정체성 찾기 등의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며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다음은 그중에서도 특히 인상 깊고 감동적인 장면들을 소개합니다.

1. 매슈와 앤의 유대감 (앤을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순간) :앤은 초록 지붕 집(Green Gables)에 처음 왔을 때, 마릴라는 그녀를 다시 고아원으로 돌려보내려 하지만 매슈는 앤을 처음 부터 앤을 가족처럼 여기고 깊은 애정을 느낀다.

💔 🚲 가장 감동적인 장면 : 앤이 실수로 양엄마의 브로치를 잃어버렸다고 거짓말한 후, 그녀는 초록 지붕 집을 떠나야 할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떠나는 길에 매슈가 기차를 타고 고아원까지 찾아가서 "너는 우리와 함께 있어야 해, 앤."이라며 그녀를 다시 데려오는 장면은 큰 감동을 주었다.👉 이 장면이 감동적인 이유: 가족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고 매슈의 따뜻한 부성애 대한 표현과 양엄마의 편견을 없애주고 겸손하게 마음을 여는 계기가 되었다. 앤이 처음으로 "내가 사랑받아도 되는 존재일까?"라는 불안을 내려놓고 진정한 가족으로 받아들여지는 계기가 되었다.

2. 앤과 다이애나의 우정 (진정한 친구를 만나다) : 앤은 고아라는 이유로 특히 어른들과 아이들의  편견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기에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어려웠지만, 다이애나 배리(Diana Barry)를 만나면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를 처음 사귀게 된다. 앤과 다이애나는 이후 다이애나의 엄마가 앤을 싫어해 둘의 관계를 막지만, 다이애나는 용기를 내어 엄마를 설득하고 끝까지 앤과 함께하며 영원한 우정을 맹세한다 👉 이 장면이 감동적인 이유:  진정한 친구란 좋을 때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지지하며 존중해 주고 환경을 초월해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앤이 처음으로 "나도 사랑받을 수 있는 사람이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고 사회적 배경이 다름에도 깊은 유대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3. 길버트와 앤의 감정 변화 (라이벌에서 사랑으로) : 길버트 블라이드(Gilbert Blythe)는 처음에는 앤과 경쟁하며 타투는 사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길버트가 아버지를 여의고 홀로 남게 되자, 앤은 자신의 상황과 비슷해진 길버트에 거 동정을 느끼면서 서서히 서로에게 깊은 감정을 느끼게 된다. 💔  가장 감동적인 장면:길버트는 앤이 자신의 글쓰기 실력을 의심할 때, 그녀의 원고를 보고 "너는 훌륭한 작가가 될 거야."라고 말해준다. 그리고 마지막 시즌에서 두 사람이 오랜 시간 동안 쌓아온 감정을 확인하며, 편지를 통해 마음을 전하는 장면은 많은 팬들의 눈물을 자아냈다.👉 이 장면이 감동적인 이유 : 단순한 로맨스를 넘어, 서로를 성장시키는 관계이고 길버트가 앤의 가능성을 믿어주는 모습과 앤이 처음으로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받을 자격이 있음을 깨닫는 순간

4.  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순간 (나는 나 자신으로 충분해) : 앤은 어린 시절 고아원에서 사랑받지 못하고 왕따와 폭력과 가난, 입양 가정을 거부당하고 옮겨 다니면서 불안과 버려지는 두려움 속에서 자랐기 때문에, 늘 "나는 누구일까? " "나는 왜 살아가는 것일까?  "나라는 존재가 사랑받을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품으며 살아왔다. 그러나 마지막 시즌에서, 그녀는 더 이상 남들의 시선을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개척하기로 결심한다.💔 가장 감동적인 장면: 앤이 대학 입학을 앞두고 거울을 보며 스스로에게 "나는 나로서 충분해."라고 말하며 스스로 자신을 격려한다.  👉 이 장면이 감동적인 이유: 자존감과 자기 정체성과 조건없이 스스로 인간으로서 있는 그대로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앤이 오랜 시간 동안 겪었던 불안을 극복하는 순간들이 시청자들에게도 용기와 희망을 주는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총평 : 왜 ‘빨간머리 앤’이 감동적인 작품인가?

넷플릭스 "빨간머리 앤(Anne with an E)"은 단순한 고아 소녀의 이야기가 아니다. 사랑, 우정, 가족, 자아 찾기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며, 우리 모두의 삶 속에서 누구나 겪고 있는 환경 속의 고민과 가난,  친구들의 문제등 이웃과의 관계를 해결하는 방법을 통해서 성장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이 작품이 감동적인 이유는 가장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꺾이지 않고 자유롭고 풍부한 상상력으로 자신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며 "나는 누구인가?",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있는가?" "진정한 가족과 친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따뜻한 답을 앤과 가족, 친구들, 이웃들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앤과의 사건과 고난을 통해서 양아버지와 양어머니가 진정한 아버지와 어버니로 바뀌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양부모가 앤을 키우면서 자신의 어릴 때 상처를 다시 돌아보고 이루지 못한 사랑도 치유되는 과정을 전개하면서 앤의 길버트와의 사랑도 적극 지지해 주고 결실을 맺게 해 준다. 사회적인 문제가 되는 동성애 문제의 발생지를 예술가들이 자유의 남용으로 쾌락을 뛰어넘어 타락의 결실에서 이루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동성애가 본성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환경에서 비롯됨을 보여 주고 있다. 그래서 ‘빨간머리 앤’은 단순한 드라마를 넘어, 많은 사람들에게 어떠한 시련의 삶의 순간에도 희망을 버리지 말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밝고 긍정적인 사고와 사랑을 실천하며 살아가면 열매를 맺는다는 삶의 위로와 희망을 주고 사회적인 문제도 제시해주며 자연의 풍경을 극대화한 아름다운 작품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