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히브리 달력

     

    유대인들은 전통적으로 태음력을 사용했다. 거기에 더하여 농사와 목축 등 일상 생활과 관련된 민간력과, 출애굽을 기점으로 새롭게 제정한 종교력을 함께 사용했다.

    각 달의 명칭은 원래 가나안 식의 고유한 이름을 사용했으나 바벨론 포로기 이후 네 개의 명칭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벨론 식의 새 명칭을 사용했다.

     

    각 달은 평균 29.5일(홀수 달 30일, 짝수 달 29일)이며 1년은 354일로 계산된다. 따라서 히브리력에서는 19년 주기로 일곱 번의 아달 알레프(히브리어: אֲדָר, 첫째 아달월)를 아달 베트(히브리어: אֲדָר, 둘째 아달월) 앞에 끼워 넣는데, 정확히는 3, 6, 8, 11, 14, 17, 19번째 해에 윤달이 온다.

     

    윤달이 있는 해는 30일이 더 늘어난다. 윤달을 (Adar I)으로 표시하고 본래 아달월을 (Adar II)로 표시하는데 부르기는 그 달(Adar II)을 아달월이라 부른다. 히브리력은 약 220년마다 1일의 오차가 발생한다.

     

     

     

     

    https://first.yeshuavictory88.com/entry/7%EB%85%84-%EB%8C%80%ED%99%98%EB%9E%80%EA%B3%BC-%EC%95%84%EB%A7%88%EA%B2%9F%EB%8F%88-%EC%A0%84%EC%9F%81-%EB%A7%90%EC%84%B8-%EC%84%A4%EA%B5%90-1%ED%83%84

     

     

    종교력
    민간력
    바벨론식
    (가나안식)
    태양력
    기후 조건
    농사 관련
    절기
    1월
    7월
    니산
    (아빕)
    3-4월
    늦은비(봄비)
    보리 추수 시작
    • 유월절(14일)
    출12:18
    • 무교절(15-21일)
    레23:6
    • 초실절(15일)
    레23:10-11
    2월
    8월
    이야르
    (시브)
    4-5월
    환절기
    밀 수확
    2차 유월절(14일)
    유월절 불참자
    3월
    9월
    시완
    5-6월
    건조기(뜨거운
    바람 유입)
    이른 무화과 결실, 포도원 손질
    칠칠절(5일)
    레23:15-21
    4월
    10월
    담무스
    6-7월
    더위,
    많은 아침 이슬
    포도철
    조생 포도 익기 시작
    예루살렘 회복 기념일(17일)
    5월
    11월
    아브
    7-8월
    태양과 열기
    감람 열매 생김
    성전 파괴 회상일(9일)
    6월
    12월
    엘룰
    8-9월
    더위 지속
    여름 무화과 결실, 대추야자 포도수확
    7월
    1월
    티쉬리
    (에다님)
    9-10월
    환절기
    (이른비)
    밭갈이 준비,
    감람 열매 결실
    • 나팔절(신년절)
    (1일' 민29:1)
    • 속죄일
    (10일, 레16:29-31)
    • 초막절
    (15일, 레23:34-36)
    • 거룩한 대회(26일)
    8월
    2월
    헤쉬반
    (불)
    10-11월
    비가 많은 날들
    경작의 계절
    9월
    3월
    기슬로
    11-12월
    겨울 시작(폭우) 곡물 파종,
    감람 수확
    수전절(25일)
    요10:22
    10월
    4월
    테벳
    12-1월
    가장 추움(우박, 눈, 비 많음)
    11월
    5월
    스밧
    1-2월
    점차 날씨가 따뜻해짐, 아몬드와 복숭아 개화
    12월
    6월
    아달
    2-3월
    산발적으로
    천둥, 우박
    아마 벗김,
    감귤 수확
    부림절(14-15일)
    에9:17-21
     
     

    이스라엘 종교력, 민간력, 태양력 

     

     

     

     

     

     

    히브리인들은 처음에는 이슬람력과 같은 태음력을 썼으며, 이집트 유랑시절 태양력을 접한 후 바빌론 포로 시절부터 태음태양력을 사용하였다.

    구약성서에 나오는 달력은 에스라 시대 바빌론의 달력을 따르고 있는데 첫 달을 유월절이 있는 Nisan(니산)월로 간주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집트에서 탈출한 그 달을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출12:2).

     

     

     

     

    📢📢📢   이스라엘(히브리) 달력을  중시해야 하는 이유? !   

    히브리달력으로 보았을 때....지금 현 시점 절기는 봄절기가 지나고 지금은  오순절시기로, 농사철이고, 곧 새로운 해가 시작된다.

    히브리 (이스라엘) 종교력은 7월이고,  민간력은 1월, 태양력은 9-10월으로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 새해가 시작된다. 즉, 이스라엘 (히브리) 새해가 시작되면서 나팔절에 나팔을 불고..죄를 속죄하고 초막절을 지내고 새해를 시작하는 것이다. 

     

    예슈아님을 기다리는 우리는 맏아들인 이스라엘 달력을 참고로 깨어서 준비하는 시간이 되어야 겠다.

    이스라엘은 영적으로 맏아들이고...그 이외의 나라들은 이방인들...둘째 아들에 속하는 것이다. 

    맏아들 이스라엘인들이  예슈아님을 빌라도에 십자가에 넘기면서...하는님의 아들을 죽인  그들의 죄를 후손에게 넘긴 것이다. 그래서  이방인들 중 예슈아님의 보배로운 성혈로 죄를 씻고 신랑 예슈아님을 기다리는 신부들은,  먼저 7년 대환란전에 휴거로 피신시키고....

     

    이스라엘 백성들은 7년 대환란에 넘겨지고   적그리스도 치하에서  단련을 받고 예슈아님을 하느님의 아들로 받아들인  144,000명이 구원되는 것이다. 

     

    이방인들중에 휴거 못 된자들은 짐승의 코드 ( 666바코드) 안받고 순교하거나, 아니면  짐승의 코드(666) 안받고 끝까지 도망가서 살아남는 자들만이 천년왕국에 들어가서 구원받을 수 있다.  

     

    나머지 짐승의 코드(666)를 받고 죽은 자들은 모두 지옥행입니다 !!!

     

    지금 전 세계 어디나!!!  폭력과 전쟁....자유민주주의를 없애려 하고...대한민국도 지금 엉망이죠......  예슈아(히)님  믿고 진실한 회개로 구원받으세요!!!  진정한 피난처는 예슈아님 믿고 회개할 때....그리고 진정으로 예슈아님을 사랑하려고 하면 ...우리 영혼을 지켜주십니다.

    잘 선택하시기를.....이 세상은  곧 종말로 가고 있습니다.... 세상의 이치를 아는 어르신들은 세상을  돌아가는 상황만 봐도 날씨를 예측하듯이... 세상 끝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고 계십니다.. 

     

    요즘... 일반인들이 임사 체험을 많이 들 하십니다. 사고로 죽었다가 살아나신 많은 분들이 예슈아님  만나 뵙고 와서 ... 회개하라고.. 준비하라고... 세상 끝이 많이 남지 않았음을 말들 하고 계십니다.  한  분이라도 죄를 회개하고 대환란에 남겨 지지 않기를 기도합니다. 

     

     

     

     

     

    📢   성경 요한계시( 묵시)록 13장 15 ~ 18                                    

     

    13:15   또 그가 짐승의 형상에게 생명을 주는 권세를 받아 그 짐승의 형상으로 말도 하게 하고, 그 짐승의 형상에게 경배하지 아니하는 자는 다 죽이도록 하니라.

    13:16   그가 모든 자, 즉 작은 자나 큰 자, 부자나 가난한 자, 자유자나 종이나 그들의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를 받게 하고

    13:17   그 표나 그 짐승의 이름이나 그의 이름의 숫자를 지닌 사람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사거나 팔 수 없게 하더라.

    13:18   지혜가 여기에 있으니 지각이 있는 자는 그 짐승의 숫자를 헤아려 보라. 그것은 한 사람의 숫자이니, 그의 숫자는 육백육십육이니라.

     

     

     

     

     

    반응형